리눅스에서 서버를 가동하기위해서 tomcat 서버를 설치해야한다.
먼저 방화벽 설정을 해준다.
터미널에서 루트 권한으로 접속한다.
방화벽 설정을 위해 작업 디렉토리를 변경한 후
http.xml을 복사하여 tomcat.xml 파일을 만들고
tomcat.xml 파일을 수정한다.
cd /usr/lib/firewalld/services/
cp http.xml tomcat.xml
vi tomcat.xml
<service> 태그 안의 내용 변경 (포트 번호만 바꿔줘도 상관 없음)
<short>WAS (HTTP)</short>
<description>Apache Tomcat</description>
<port protocol="tcp" port="8080"/>
방화벽을 등록하고 재가동 시켜준다.
firewall-cmd --zone=public --add-service=tomcat --permanent
firewall-cmd --reload
현재디렉토리로 돌아온 후
이제 tomcat을 다운로드 받아줄 차례이다.
tomcat.apache.org 에서 설치할 톰캣 버전에 맞는 tar.gz 링크 주소를 복사해서
wget 명령어로 다운을 받아준다.
다운 완료 후 ls 명령어로 파일 확인 후
tar xvf 명령어로 다운받은 파일의 압축을 풀어준다.
그다음 톰캣을 실행 시킨다.
./apache-tomcat-9.0.43/bin/startup.sh
윈도우에서 리눅스의 톰캣 서버에 접속해본다.
리눅스의 ip주소:8080 으로 접속
(리눅스에서 ip주소는 ifconfig로 확인)
'Linux > Linux 서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에 웹서버 구축하기 - 7. 웹서버 사용하기 (0) | 2021.02.17 |
---|---|
리눅스에 웹서버 구축하기 - 6-1. mariaDB mysqldump 사용해서 table 복사하기 (0) | 2021.02.17 |
리눅스에 웹서버 구축하기 - 6. mariaDB 설치 (0) | 2021.02.16 |
리눅스에 웹서버 구축하기 - 4. ftp (0) | 2021.02.16 |
리눅스에 웹서버 구축하기 - 3. CentOS 초기설정 (0) | 2021.02.09 |